본문 바로가기
Clinical Science/임상시험

Loading Dose(부하용량) & Maintenance Dose(유지용량)

by 여흐르 2023. 7. 21.

약물을 꾸준히 투여하면 해당 dose의 steady state에 다다르게 되고 더이상 증가하지 않게 되죠.

steady state의 농도가 therapeutic range에 계속 들어가 있다면 원하는 치료효과를 볼 수 있을거에요.

약물에 따라 therapeutic range가 다르고 몇몇 약물은 좁은 range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하죠.

 


 

 

steady state에 대하여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로 확인해 주세요.

 

 

임상시험 디자인 : Steady State, Dosing Interval, Study Period

Multiple dosing study를 진행한다면 약물을 어떤 간격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dosing interval은 약물이 적정효과가 나올 수 있도록 therapeutic range에 잘 도달 하는가를 결정하는 농

lucialunel214.tistory.com

 


 

만약 환자가 교통사고에 당해 약효가 1분 1초 급하다면?

혹은 반감기가 길어 steady state에 다다를 때 까지 아픈환자가 너무 오랜 기간 기다려야 한다면요?

steady state에 다다를때까지 우리는 기다릴 수가 없어요.

 

이러한 문제의 해결법으로 우리는 loading dose를 사용해요.

먼저 높은 농도를 투여해서 필요한 농도까지 올려두고 maintenacne dose로 steady state를 조절하는거죠.

 

loading dose and maintenace dose graph

 

 

loading dose를 계산하는 식을 볼까요?

 

$$ Loading\,Dose=C_{max,ss}\times V_{d} $$

 

여기서 위의 링크에서 steady state를 계산하는 계산식을 떠올려봅시다.

 

$$ C_{max,ss}=\frac{Dose}{V_{d}}\times (\frac{1}{1-e^{-k\tau }}) $$

 

여기서 말하는 Dose는 이후에 지속적으로 줄 maintenance dose일 것이고,

위의 두 식을 합치면 다음과 같이 나오겠네요.

 

$$  Loading\,Dose= \frac{Maintenance\,Dose}{1-e^{-k\tau }} $$

 

만약 임상시험의 결과를 통해 steady state에서의 Cmax를 안다면 Maintenance Dose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농도가 therapeutic range내의 농도값으로 목표값이 될거에요.

 

$$  Maintenence\,Dose=C_{max,ss}\times Cl  $$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