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inical Science/임상시험

Biomarker vs Surrogate endpoint (대리변수) vs Clinical endpoint 간단정리

by 여흐르 2023. 6. 9.

임상시험을 할 때 이 환자가 약이 잘 듣는지 듣지 않는지를 무엇으로 평가할까요?

우리는 이 efficacy(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rimary, secondary endpoint (1,2차평가변수)를 설정하게 됩니다.

이렇게 선정된 endponit는 임상시험을 준비할 때 환자수를 결정하게되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죠.

 

 

근데 보니까 임상시험을 할 때 biomarker도 endpoint로 사용하고,

surrogate endpoint도 enpoint로 사용하던데 무슨차이가 있는걸까요?

왜 clinical endpoint대신에 다른 변수를 사용해서 평가하는걸까요?

 

예시로 췌장암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췌장암은 사망률이 매우 높은 무시무시한 암이에요.

그럼 진단기준이 뭐길래 우리는 몸속에 췌장암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까요?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알 수있어요.

먼저 실험실 결과 수치인 CA19-9와 CT/MRI를 찍어서 췌장에 보이는 암종으로 말이에요

그렇게 미리 진단이되어 치료를 한다면 환자의 죽음을 막거나 늦출 수 있겠죠.

 

 

여기서 좀 임상시험의 관점으로 들어가 봅시다.

우리는 췌장암 환자의 죽음을 막고 싶은거에요.

이건 환자가 직접적으로 겪게되는 response가 되어  clinical endpoint라고 합니다.

 

환자가 죽기 전에, 암이 온몸을 뒤덮기 전에 치료를 해야 될 거에요!

죽음, 즉 clinical endpoint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라고 할 수 있죠.

이를 surrogate endpoint라고 해요.

 

근데 새로운 약물 개발단계에서는 surrogate endpoint를 확신 할 수 없어요.

때문에 non-clinical endpoint 또는실험실 수치를 endpoint삼아 surrogate endpoint에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지를 확인 해 볼 수 있어요. 왜냐면 surrogate endpoint에 영향을 주면 clinical endpoint에도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이죠.

이를 biomarker라고 해요.

 

 

밴다이어 그램으로 그린다면 아래와 같은 모양이에요

 

The relationship between biomarkers and surrogate endpoints (Adapted from Wagner, 2002)

 

surrogate endpoint는 clinical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수치이고, biomarker은 non-clincial 수치이기 때문에

biomarker가 더 큰 개념이고 그 안에 surrogate endpoint가 있는 모양이 될거에요.

 

 

그럼 밴다이어그램 속 PD marker은 뭘까요?

pharmacometrics modeling을 보게되면 PD marker를 사용하여 약물의 response를 평가하고 예측합니다.

이 때, PD는 pharmacodynamic의 약자로 약력학 평가 변수를 의미해요.

PD marker는 임상 비임상을 가리지 않고 biomarker를 사용하기도 하고 임상적인 현상을 수치화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간단히 설명을 드리면 이렇습니다.

1. Clinical Endpoint

실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 endpoint로 측정하는데 오래걸리거나 어렵고 주관적임.

 

2. Surrogate Endpoint

biomarker와 clinical endpoint사이의 관련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clinical endpoint를 대신할 수 있는 biomarker 

 

3. Biomarker

검사를 통해 나오는 모든 수치를 의미하며 이 수치가 질병과 연관된 것은아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