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시험은 개발단계와 목적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조금 다릅니다.
먼저 개발단계에 따라서는 우리가 잘 알고있는 1,2,3,4상을 말하고 있으며,
목적에 따라서는 임상약리, 치료적 탐색, 치료적 확증, 치료적 사용 시험으로 나누게 됩니다.
따라서 임상약리시험이지만 1상이 될수도, 4상 임상시험일 수도 있음에 주의해야합니다.
다만, 대부분의 약물개발에 있어 Phase 1에서는 human pharmacology를 보는 등의 목적을 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ICH E8에 잘 설명이 되어있는데 아래 링크에서 원본 및 번역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CH guideline] 식약처 ICH 가이드라인 한글 번역본 및 원본
제약의료교육을 들으며 가장 많이 찾아보고 공부해야되는것이 FDA, EMA, ICH 가이드라인이었습니다. 그 중 식품의약품안전평기원에서 ICH가이드라인을 번역하여 국문본으로 공유하고 있습니다. ICH
lucialunel214.tistory.com
ICH E8에서 설명하는 목적의 따른 분류를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초기 임상시험은 Phase1~Phase2a를 지칭합니다.
종류 | 목적 | 대상 | 예시 |
Phase 1, 임상약리 (Human Pharmacology) |
- Safety & Tolerability - PK/PD - Drug metabolism - Drug interaction |
건강성인 (단, 독성이 강한 약물은 환자만 시행) |
- First-in-human - Single/Multiple dose of PK/PD - Drug interaction |
Phase 2, 치료적 탐색 (Therapeutic Exploratory) |
전기, Phase 2a (pilot study) : 예비 유효성 (효과 여부 관찰), 후기, Phase 2b (pivotal sutdy) : 3상에서 필요한 용량 탐색, |
대상 환자 (소수) |
- Dose-response exploration Phase 2a : 단계적 증량시험 (proof of cocept) Phase 2b : dose finding study (용량-반응 시험) |
Phase 3, 치료적 확증 (Therapeutic Confirmatory) |
- efficacy & safety profile 확증 (confirm) - Dose-response relationship (optimal dose 에서 효과 검증) - Basis for the benefit/risk relationship to support licensing |
대상 환자 (다수) |
- Randomized parallel dose-response studies - Clinical safety studies - Mortality/ morbidity outcomes - Comparative studies |
Phase 4, 치료적 사용 (Therapeutic Use) |
- 부가적인 약물 상호작용, 용량-반응, 이상반응 추적 - 새로운 적응증 연구 (special population) - Pos marketing survillance, PMS : 시판후 자료 수집하여 제출 |
대상 환자 (다수) |
- Comparative effectiveness - Mortality/morbidity outcomes - Studies of additional endpoints - Pharmacoeconomic studies |
*efficacy와 effectiveness의 차이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를 확인 해 주세요.
Efficacy (유효성) vs Effectiveness (유효성) 차이
Efficacy와 Effectivenss 모두 번역을 하게되면 "유효성"입니다. 대체 무슨 차이가 있기에 나누어 쓰는걸까요? Efficacy와 Effectivenss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fficacy : efficacy는 임상시험이나 실
lucialunel214.tistory.com
다만 개량신약의 경우 Phase1에서 Safety & Equivalence만 입증하면 되는데,
이는 기존의 약과 약동학적 특성이 같으면 효능이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 equivalence criteria는 primary endpoint인 Cmax와 AUC의 GMR 신뢰구간이 80~125%사이에 들어와야 승인이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Clinical Science > 임상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시험 디자인 : sampling point, sampling time 선정 (0) | 2023.06.19 |
---|---|
임상시험 분석대상군 : ITT vs FAS vs PP (0) | 2023.06.13 |
Biomarker vs Surrogate endpoint (대리변수) vs Clinical endpoint 간단정리 (0) | 2023.06.09 |
Efficacy (효능) vs Potency (효력, 역가) (0) | 2023.06.08 |
Efficacy (유효성) vs Effectiveness (유효성) 차이 (0)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