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

임상시험 분석대상군 : ITT vs FAS vs PP 임상시험을 분석할 때 대상군을 Intention to Treat(ITT), Full Analysis Set(FAS), Per Protocol(PP) 세가지 형태로 나눕니다. 세 군은 서로 부분집합 관계로 이번엔 세 군의 차이를 알아볼까요? 세부 내용은 ICH E9에 잘 기술되어 있으며 제일 아래에 링크를 첨부하였습니다. ITT, Intention to Treat : ITT는 영어 번역 그대로 배정된 대로라는 의미로 가장 보수적인 접근방법입니다. 실제 배정이 잘못되었던 중간에 탈락을 하였건 모든 대상자를 포함시키는 dataset입니다. FAS, Full Analysis Set: FAS는 ITT보다 덜 보수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dataset이며, 타당한 이유로 대상 환자를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다.. 2023. 6. 13.
Pharamcometrics (계량약리학) 제목을 거하게썼지만 간단히 introduction느낌으로 설명을 해보고자 합니다. pharmacometics는 quantitive phramacology라고도 불리며 약물의 용량, 농도, 효과, biomarker간의 quantative relationship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현재 챗GPT등 AI와 머신러닝이 많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제약업계에서도 리드와 히트를 찾는데 머신러닝을 사용하기도 하고, EMR의 빅데이터를 사용해 환자를 미래 상황을 예측을 하기도 하죠. 계량약리의 분야는 이와 비슷하다 보시면 됩니다. 데이터를 수학적이고 통계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생리학적이거나 생물학적, 임상적인 관점으로 접근이 필요한 분야로, 특정한 PK/PD modeling simulation을 바탕으로 약리학적 특.. 2023. 6. 13.
임상시험의 종류 임상시험은 개발단계와 목적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조금 다릅니다. 먼저 개발단계에 따라서는 우리가 잘 알고있는 1,2,3,4상을 말하고 있으며, 목적에 따라서는 임상약리, 치료적 탐색, 치료적 확증, 치료적 사용 시험으로 나누게 됩니다. 따라서 임상약리시험이지만 1상이 될수도, 4상 임상시험일 수도 있음에 주의해야합니다. 다만, 대부분의 약물개발에 있어 Phase 1에서는 human pharmacology를 보는 등의 목적을 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ICH E8에 잘 설명이 되어있는데 아래 링크에서 원본 및 번역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CH guideline] 식약처 ICH 가이드라인 한글 번역본 및 원본 제약의료교육을 들으며 가장 많이 찾아보고 공부해야되는것이 FDA, EMA.. 2023. 6. 12.
국내 신약 허가 현황 (혁신신약, 바이오신약) (2023.06.09 기준) 현재 국내신약 리스트를 보니 36호까지 나왔네요, 개발된 혁신신약 및 바이오신약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3년 6월 9일 기준) 연번 제품명 회사명 주성분 효능.효과 허가일자 개발기간 36 엔블로정 ㈜대웅제약 이나보글리플로진 제2형 당뇨병 치료제 '22. 11. 30 - 35 스카이코비원멀티주 SK바이오사이언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 스파이크 단백질 RBD 항원(유전자재조합) 코로나19 예방 백신 '22. 6. 29 - 34 펙수클루정 ㈜대웅제약 펙수프라잔염산염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21.12.30 - 33 롤론티스 한미약품㈜ 에플라페그라스팀 호중구감소증치료제 ‘21.03.18 - 32 렉키로나주 ㈜셀트리온 레그단비맙 코로나19치료제 ‘21.02.05 - 31 렉라자정 ㈜유한양행 레이저티닙메실산염.. 2023. 6.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