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Clinical Science19

Efficacy (효능) vs Potency (효력, 역가) Efficacy와 Potency 모두 약물의 response와 관련된 용어고, 한국어로 번역하면 같은 효자돌림이라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 Efficacy(효능) vs Potency(역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fficacy (효능) : efficacy는 Emax 또는 EC50로 나타내며, 약물자체가 가지고 있는 효과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만약 머리가아파서 타이레놀을 먹는다고 했을 때 많이 먹는다고 효과가 계속 증가하지는 않는데 만약 이미 많은 약을 먹었는데도 나아지지 않는다면, 효능이 더 높은 마약성 진통제를 먹게 되겠죠? 이처럼 약물이 가지고 있는 capacity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약회사에선 efficacy를 더 중요시하게 보고 있습니다. Potency (효력, 역가) : poten.. 2023. 6. 8.
Efficacy (유효성) vs Effectiveness (유효성) 차이 Efficacy와 Effectivenss 모두 번역을 하게되면 "유효성"입니다. 대체 무슨 차이가 있기에 나누어 쓰는걸까요? Efficacy와 Effectivenss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fficacy : efficacy는 임상시험이나 실험과 같이 통제된 환경에서 대상자 군을 제한하여 평가된 효과를 의미합니다. Effectivenss : effectiveness는 통제되지 않은 real-word에서 평가된 효과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이 둘을 나누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는 이러한 환경에 따라 약물의 효과가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임상시험의 경우 선정제외기준에 부합한 대상자만을 대상으로 엄격히 투약을 관리하며, 만약 특정 병용약물이나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대상자에서 제외.. 2023. 6. 8.
Superiority (우월성) vs Equivalence (동등성) vs non-Inferiority (비열등성) 간단정리 약물을 개발하는 이유는 기존의 약과 비교하였을 때 새로이 개발하는 시험약이 기존의 약보다 무언가가 나아야 개발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기존의 약만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 모든것이 같다면 약물을 개발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여기서 말하는 '무언가'는 단순히 약물의 pharmaceutical (제제학적), clinical (임상적)인 것 뿐만이 아니라 안전성인 편이성 측면에서도 보아야 합니다. 이번에는 약물의 Superiority (우월성), Equivalence (동등성), non-Inferiority (비열등성)에 대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1. Superiority (우월성) 우월성은 기존의 약재보다 더 좋은 효과가 나타난다!를 입증하는 시험입니다. 하지만 이런 목적의 시험은 표준치료가 이미 있는 경우 .. 2023. 6. 8.
carry-over effect (이월효과, 잔류효과) vs sequence effect (순서효과) vs period effect(시기효과) 간단정리 cross-over design(교차설계)에서 efficacy를 평가 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사항이 있습니다. 바로 carry-over effect (이월효과, 잔류효과), sequence effect (순서효과), period effect(시기효과)입니다. 이 때문에 중간의 washout period를 가져 bias를 줄이는 노력을 하는데 세가지 effect간의 차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arry-over effect (이월효과, 잔류효과) carry-over effect는 A->B, B->A로 treatment가 변경될 때 treatment의 남은 효과로 인하여 다음 treatment에 영향을 주어 response를 증가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2. sequence effect (순서효.. 2023. 6.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