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A로 AUC 구하는 법 (linear up log down, linear/log trapezoidal)
약물을 개발하는 과정을 거치다보면 standarization이 매우매우매우 중요합니다.
내 데이터를 승인기관인 식약처가, FDA가, EMA가 보았을 때 분석결과가 같아야 하거든요.
그래서 약동학 파라미터를 분석할 때 NCA를 사용해 분석을 하게 됩니다.
NCA로 분석을 하게되면 약물의 농도그래프를 단순히 점으로 연결하여 그대로 면적을 구하게 되기 때문에
어디서 분석을 진행할지라도 데이터만 같으면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되죠.
승인기관에서의 reproduce를 위해 어떻게 efficacy(PK parameter)를 분석을 할지 임상시험 통계 계획서 (Statistical Analysis Plan, SAP)에 명확히 기재하고 그대로 실천해야합니다.
이제 PK parameter인 AUC에 집중해 볼까요?
AUC는 농도 그래프의 곡선하면적입니다.
보통 임상시험은 촘촘한 dense sampling이 매우 어렵죠.
윤리에 어긋나기도 하고 너무많이 뽑으면 환자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요.
그래서 보통 12~18회정도 채혈하게되는데 결과 데이터를 분석할 때 이 점들을 직선으로 연결을 합니다.
고등학교때 적분을 배울때 어떻게 배웠었나요?
그래프 면적을 잘게 직사각형을 쪼개서 더하는것으로 배우지 않았었나요?
임상시험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일 적분 rule은 직사각형이 아니라 사다리꼴이라는 점을 유념해 두셔야 합니다.
trapezoidal method혹은 rule이라고 해요.
어떤그래프를 쪼갤것이냐, interpolation을 어떻게 할 것이냐, 기준은 뭘 할 것이냐에 따라
AUC를 구하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어떤 방법을 쓰냐는 SAP에 작성한 것에 따라 다르며 기재한 대로 분석을 해야합니다.
linear trapezoidal | linear log trapezoidal | linear trapezoidal w/ linear/log interpolation |
linear up log down | |
tapezoidal rule | linear | linear before Cmax log after Cmax |
linear | linear for up log for down |
interpolation | linear | linear before Cmax log after Cmax |
linear before Cmax log after Cmax |
linear before Cmax log after Cmax |
저는 linear log trapezoidal과 linear up log down이 헷갈렸었는데,
차이점은 linear과 log가 나누어지는 기준에 있습니다.
linear log trapezoidal | linear up log down |
Cmax를 기준으로 뒤에 다시 상승하는 그래프가 나타나도 log를 사용하여 AUC를 구함![]() |
기준 없이 무조건 상승그래프는 linear, 하강그래프는 log를 사용하여 AUC를 구함![]() |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AUC의 종류 및 계산법 : AUClast, AUCinf, AUCall, partial AUC
AUC를 계산하는 기본적 원리와 방법은 이전에 다룬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약물의 concentration이 BLQ로 인하여 missing으로 처리될 때, AUC의 종류와 상세 계산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NCA로 AUC
lucialunel214.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