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cience/임상시험
임상시험 디자인 : BE (생동성) 평가 기준
여흐르
2023. 10. 27. 18:44
BE 기준은 parameter의 변동성에 따라 선정 기준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즉 paramenter의 within-subject (intra-subject)의 CV%를 기준으로 선정하며,
30%를 cut-off로 CV%가 이보다 크다면 high variable drug라고 따로 분류합니다.
$$ CV \% = 100\cdot\sqrt{e^{sd_{ws}^{2}}-1} $$
여기서 \( sd_{ws} \)는 within-subject의 standard deviation을 위미합니다.
이게 무슨 의미냐면,
동일한 약물을 먹더라도 대상자의 paramenter가 30%이상 차이가 난다면 변동성이 심한 약물이라고 하는거죠.
이 때 Cmax는 허용범위가 69.84~143.19%까지 확대될 수 있는데,
AUC는 무관하게 80~125%사이로 들어와야합니다.
변동성에 따른 BE기준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Within-subject CV(%) * | Lower limit | Upper limit |
30 | 80.00 | 125.00 |
35 | 77.23 | 129.48 |
40 | 74.62 | 134.02 |
45 | 72.15 | 138.59 |
≥50 | 69.84 | 143.19 |
이 표는 geometric mean ration(GMR)의 범위를 의미하며,
CV%가 30%까지는 Cmax의 GMR이 잘 알려진 기준인 80~125%내에 들어와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Reference
1. EMA. GUIDELINE ON THE INVESTIGATION OF BIOEQUIVALENCE
728x90
반응형